-
목차
🐶 이첨판폐쇄부전증이란?
이첨판폐쇄부전증(Mitral Valve Regurgitation, MVD)은 강아지에서 흔히 발생하는 심장 질환 중 하나로, 심장의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한 이첨판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혈액이 역류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질환은 강아지의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소형견에서 높은 빈도로 발생합니다.
이첨판의 역할은 심장이 수축할 때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흘러간 혈액이 다시 좌심방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판막이 손상되거나 변성이 일어나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액이 심장 내부에서 비정상적으로 흐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심장이 더 열심히 펌프질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심부전(Heart Failure)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 강아지 이첨판폐쇄부전증의 원인
이첨판폐쇄부전증의 원인은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선천적 요인
일부 강아지는 태어날 때부터 이첨판에 구조적인 이상이 있어, 성장하면서 폐쇄부전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유전적 요인은 특정 품종에서 더욱 흔하게 나타납니다.
2. 후천적 요인
후천적 원인으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퇴행성 변화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이첨판의 조직이 약해지고 탄력을 잃어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특히 10세 이상의 노령견에서 높은 발생률을 보입니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이첨판폐쇄부전증의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유전적 요인: 킹 찰스 스패니얼, 시츄, 포메라니안, 푸들 등 일부 소형견에서 유전적 소인이 높음
- 심내막염: 감염성 질환이 판막 조직에 손상을 주어 기능 저하 유발
- 심장 근육의 이상: 심장 자체의 문제로 인해 판막의 닫힘 기능이 약화됨
⚠ 이첨판폐쇄부전증의 주요 증상
이첨판폐쇄부전증은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지만, 질병이 진행되면서 다양한 임상 증상이 나타납니다.
✅ 초기 증상:
- 가벼운 기침 (특히 자거나 일어날 때)
- 활동량 감소
- 빠른 호흡 또는 가쁜 숨
- 심장 잡음 (수의사가 청진 시 발견 가능)
✅ 중기 증상:
- 기침 증가 및 지속적인 호흡 곤란
- 쉽게 피로해짐
- 식욕 감소
✅ 말기 증상:
- 심부전 발생 (폐에 물이 차는 폐부종)
- 복수가 차오름
- 실신하거나 운동을 거부
- 청색증 (산소 부족으로 인해 혀나 잇몸이 푸르게 변함)
🏥 강아지 이첨판폐쇄부전증 진단 방법
정확한 진단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됩니다:
- 신체검사 및 청진: 심장 잡음이 있는지 확인
- 흉부 엑스레이(X-ray): 심장의 크기 및 폐부종 여부 확인
- 심장 초음파(Echocardiography): 판막의 기능과 혈류 역류 정도 분석
- 혈압 측정 및 혈액 검사: 심장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평가
💊 강아지 이첨판폐쇄부전증 치료법
이첨판폐쇄부전증은 완치가 어려운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강아지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1. 약물 치료
✅ 강심제 (Pimobendan): 심장의 수축력을 향상해 혈액 순환을 돕는 역할 ✅ 이뇨제 (Furosemide): 체내 과도한 수분을 배출하여 폐부종을 완화 ✅ 혈관확장제 (ACE inhibitors): 혈압을 조절하여 심장의 부담 감소 ✅ 항부정맥제: 부정맥이 동반될 경우 사용
2. 생활 관리 및 식이 요법
- 저염식 식단 유지 (심장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 적절한 운동 (무리한 운동은 피하고 가벼운 산책 권장)
- 체중 관리 (비만은 심장에 추가적인 부담을 줌)
- 스트레스 최소화 (강아지가 편안한 환경에서 생활하도록 조성)
3. 외과적 치료 (수술 가능 여부)
수술적 치료(이첨판 교체 또는 교정 수술)는 가능하지만, 비용이 비싸고 국내에서 시행 가능한 병원이 제한적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약물 치료와 생활 관리가 기본적인 치료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 강아지 이첨판폐쇄부전증 예방 및 관리 방법
이 질환은 완전한 예방이 어렵지만, 조기에 관리하면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 정기 건강검진: 6개월~1년에 한 번 심장 검사를 받도록 합니다.
- 균형 잡힌 식사 제공: 심장 건강을 고려한 사료 선택
- 비만 예방: 체중이 늘어나면 심장의 부담이 증가하므로 적절한 운동 필수
- 빠른 대처: 기침,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보이면 즉시 동물병원 방문
'반려동물 수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 문제행동, 효과적인 행동교정 방법 총정리 (0) 2025.03.23 강아지 뇌 건강을 위한 필수 관리법 및 예방법 (0) 2025.03.22 강아지 두개골 및 뼈대계통의 구조와 기능 (0) 2025.03.21 가축과 반려동물 품종 개량의 핵심, 동물유전육종학의 모든 것 (0) 2025.03.20 사랑하는 반려동물을 떠나보낸 후, 펫로스증후군 이겨내는 방법 (0)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