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진주 가산리 우물지에서 출토된 동물뼈 유물, 해부학적 분류로 읽는 고대인의 삶
한 뼘의 뼈에서 시작된 이야기. 경상남도 진주시 가산리 우물지에서는 단순한 흙더미 속에서 수많은 역사적 흔적이 발견되었습니다. 그중에서도 고대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 것이 바로 동물뼈 유물입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 출토 뼈들을 해부학적 기준으로 정밀 분류하고, 이를 통해 고대인의 생활방식과 생태 환경, 사육 문화 등을 조명하고자 했습니다.
가산리 우물지 유적 – 물과 삶의 중심
진주 가산리 우물지는 삼한~삼국 시대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우물 유적입니다. 이곳은 농경사회와 생활공간의 중심이었던 물의 존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적 중 하나로, 당시 사람들의 생존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었습니다.
우물 내부와 주변에서 다량의 유기물과 뼈 유물, 토기 조각이 함께 출토되었으며, 특히 동물뼈는 고대인들이 무엇을 먹었고, 어떤 동물을 길렀는지, 그리고 어떤 동물을 의례용으로 사용했는지 등 실생활과 신앙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합니다.
동물뼈의 해부학적 분류란?
출토된 동물뼈를 단순히 눈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는 정확한 종 식별이나 활용 목적을 알아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부학적 분류법을 적용해 동물의 종류, 연령, 성별, 사육 여부 등을 밝혀내고자 했습니다.
주요 해부학적 분류 요소:
- 두개골(Skull): 뇌의 크기, 안와(눈구멍), 치열 분석을 통해 종 식별
- 장골(Pelvis): 성별과 근육 부착 구조 확인 가능
- 견갑골(Shoulder blade) 및 대퇴골(Femur): 동물의 크기, 성장 여부 분석
- 이빨(Dentition): 연령 추정 및 식성 파악
또한, 비교 해부학 자료 및 현대 동물 표본과의 대조를 통해 유물 뼈가 어떤 동물에 속하는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
출토된 동물뼈의 종류 및 해석
가산리 우물지에서 출토된 뼈 중 주요한 동물은 소(Bos taurus), 돼지(Sus scrofa), 개(Canis lupus familiaris), 닭(Gallus gallus domesticus) 등입니다. 각각의 동물은 고대인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으며, 그 용도에 따라 활용 방식도 다양했습니다.
소뼈
- 대퇴골과 견갑골을 통해 중대형 육류 가축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
- 골절 흔적과 칼자국 → 식용 도축 흔적
돼지뼈
- 다양한 연령의 뼈 출토 → 사육 및 번식 목적 가능성
- 일부는 신석기 시대 이후 사육화된 종과 유사한 특징
개뼈
- 전체 골격이 출토된 사례 있음 → 의례 또는 애완의 가능성
- 일부는 묻힌 상태로 확인 → 장례 의식 가능성
조류뼈 (닭 또는 야생조류)
- 가벼운 골격, 날개뼈 흔적 확인
- 음식물 쓰레기 또는 제의 관련 가능성
문화적·역사적 의미 – 뼈로 복원하는 고대 사회
단순한 동물뼈지만, 이들이 의미하는 바는 결코 작지 않습니다. 분포 형태, 위치, 손상 흔적 등을 분석함으로써 당시 사람들의 식생활 구조, 사육 및 사냥 방식, 신앙적 문화까지 유추할 수 있습니다.
- 가축화 동물의 뼈가 많은 비중을 차지 → 정착형 농경사회 가능성
- 소형 동물과 함께 조류 뼈도 다수 출토 → 다양한 동물 활용
- 도축 흔적이 있는 뼈와 의례용으로 추정되는 뼈의 분리 → 실용 vs 종교적 사용 구분 가능
이러한 분석은 단지 고고학적 의미를 넘어, 지역사회 형성과 인간-동물 관계사의 흐름까지 연결되는 중요한 학술적 성과로 이어집니다.
해부학적 분류 연구의 미래 과제
이번 연구는 과학적 해부학 분석법을 고고학 유물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가 필요합니다:
- 더 많은 동물종 비교 데이터 확보
- DNA 분석 또는 동위원소 분석과의 병행
- 타 유적과의 유물 비교를 통한 생활권 연구
궁극적으로 이러한 연구는 우리 선조들의 삶을 보다 과학적이고 사실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입니다.
'반려동물 수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프리카돼지열병, 국가별 방역 정책 비교와 디지털 방역의 해법 (0) 2025.04.05 강아지 폐렴, 장외 대장균 감염이 원인? (0) 2025.04.05 돼지 설사 유래 대장균, 항생제 금지 이후 어떻게 변했나 (1) 2025.04.05 6년제 수의학교육과 우리가 해야 할 일 (0) 2025.04.04 미국에서 수의사가 되려면? DVM 과정과 면허 취득 절차 (0) 2025.04.04